기간 2015.9.25(금)~2015.10.4(일)까지
출처 : http://www.maskdance.com/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15
외국공연단 총괄
번호 |
국 가 명 |
단 체 명 |
장 르 |
인 원 |
비 고 |
|
합 계 |
|
|
186명 |
|
1 |
러 시 아 |
로벤스키 무용 앙상블 |
민속무용 |
21명 |
IOV
|
2 |
대 만 |
러윤 무용단 |
창작 |
22명 | |
3 |
태 국 |
스리나카린위롯 태국 |
창작 |
20명 | |
4 |
말레이시아 |
GP 댄스 컴퍼니 |
창작 |
10명 | |
5 |
카자흐스탄 |
삼룩 무용단 |
창작 |
11명 | |
6 |
이 집 트 |
이집트문화청소년체육부 이스마일리아센터 |
창작 |
16명 | |
7 |
일 본 |
이사다이가구라 시부야 |
전통 |
15명 |
재단 자체
|
8 |
필 리 핀 |
PINIA, 국가문화예술위원회 |
창작 |
20명 | |
9 |
중 국 |
사천성 천극원 |
전통 |
31명 | |
10 |
인도네시아 |
사마락 칸드라키라나 아트센터 |
전통 |
15명 | |
11 |
프 랑 스 |
Claude Roche |
창작 |
1명 | |
12 |
에콰도르 |
안데스 문화원 |
전통악기 |
4명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15 외국공연단 공연 소개
연번 |
국 가 명 |
사 진 |
공 연 단 명 |
공 연 내 용 |
1 |
러 시 아 |
|
로베스니키 무용 앙상블 |
러시아의 전통춤과 의상이 어우러진 공연으로 전통의복을 활용한 역동적인 춤이 인상적 |
2 |
대 만 |
|
러윤 무용단 |
대만의 역사와 전설을 춤으로 표현한 공연 |
3 |
태 국 |
|
스리나카린위롯 태국 |
전설 속에 존재하는 프라수톤과 마노라에 대한 전설을 중심으로 한 전통춤으로 두 사람의 사랑과 그 결실을 표현한 춤 |
4 |
말레이시아 |
|
GP 댄스 컴퍼니 |
인간의 삶과 희망을 춤으로 표현한 공연 |
5 |
카자흐스탄 |
|
삼룩 무용단 |
전통음악과 문화를 현대 안무에 접목시킨 공연으로 화려한 춤이 인상적 |
6 |
이 집 트 |
|
이집트 문화청소년 체육부 이스마일리아 센터 |
이집트의 전통춤인 ‘타노라’를 중심으로 한 공연으로 빙글빙글 돌며 신과의 만남을 표현하는 공연 |
7 |
일 본 |
|
이사다이가구라 시부야 |
일본의 전통춤으로 신사에 가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춤과 음악을 통해 복을 전해주는 공연 |
8 |
필 리 핀 |
|
PINIA, 국가문화예술 위원회 |
필리핀의 전통적인 탈과 문화를 현대 댄스에 접합 시켜 독특한 필리핀만의 감성을 느낄 수 있는 공연 |
9 |
중 국 |
|
사천성 천극원 |
'서유기' 중 손오공이 나찰녀 철선공주한테 파초선을 빌리는 이야기를 바탕으로 창작한 신화공연 |
10 |
인도네시아 |
|
사마락 칸드라키라나 아트센터 |
인도네시아 솔로와 멜랑 지역에서 전승되는 전통춤 |
11 |
프 랑 스 |
|
Claude Roche |
현대사회의 아픔을 탈을 통해 위로하는 1인 퍼포먼스 |
12 |
에콰도르 |
|
안데스 문화원 |
전통 악기를 연주해 남미의 분위기를 마음껏 느낄 수 있는 공연 |
1. 러시아
▢ 단체 소개 : 로베스니키 무용 앙상블
- 로베스니키 무용단은 5세부터 20세까지의 재능 있는 무용수들로 구성된다. 앙상블의 무대 공연은 니콜라이 페트로비치 보로닌이 지휘하는 22명의 단원들로 구성된 민속 관현악단과 함께한다.
세계적 축제들에서 유네스코와 IOV의 원조로 러시아 연방을 대표하며 그곳에서 학생들과 교사들이 전통을 보존하고 계승하여 국가 간 우호를 다지는데 큰 공헌을 한다.
▢ 공연소개
① 러시아 조곡 “칼린카”(Kalinka) - 민속 무용
- 이 춤은 널리 알려진 러시아 곡인 ‘칼린카’와 함께 이루어진다. 월귤(Kalina)은 러시아 자연과 문화의 아름다움을 상징한다.
② 러시아 무용 “바리냐”(Barinya) - 민속 무용
- 러시아의 한 마을에서 가장 아름다우며 성공한 젊은 여성인 ‘바리냐’는 그녀의 기품과 아름다움을 우상시하는 뭇 남성들에게 노래로 칭송 받았다.
③ 머리두건을 사용한 러시아 무용 - 민속 무용
- 머리두건은 러시아 여성들의 전통 의상 중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여성용 머리두건의 아름다움으로 마을 내에서 두건 소유자의 지위를 알 수 있다.
④ 쿠샤크(전통 허리띠)를 사용한 남성 무용 - 창작 민속 무용
- 이 춤은 대담함과 용맹함을 겨루는 춤이다. 쿠샤크는 러시아 전통의복에 속하는 허리띠이다.
⑤ 창작 무용 “새들의 평원에서” - 창작 민속 무용
- 이 춤은 러시아 사람들의 다양한 성격을 새의 행동에 빗대어 표현한 춤이다.
|
|
러시아 공연단 공연 사진 |
2. 대만
▢ 단체소개 : 러윤 무용단
- ‘러윤 무용단(Le-Yun Dance Group)’은 Hui-Chen Tseng에 의해 대만의 타이난 주에서 2005년 설립되었으며 심도 있는 난잉 지역의 현지 예술을 육성하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2006년에 미국 테네시 주에서 열린 Art Festival에 참여하여 대만의 예술과 문화를 성공적으로 알렸다. 같은 해, 대만의 유명한 연례TV 프로그램인 “골든벨 어워드”의 개막 공연으로도 활동하였다.
․ 2007년 ~ 2009년 : Nanying International Arts Festival에서 우수 무용단 부문 수상
․ 2008년 : 대만 등(燈) 축제, 타이페이 국제 난(蘭)전시회, 난잉꽃 전시회 공연 참가
․ 2009년 : 국가 주관 무용 대회 우승
․ 2011년 : 타이난 예술 지원단 선정 / “Feng City Legend” 공연 / 대만 문화부 주관 남부 예술단 선정
․ 2012년 : 대만 문화부 주관 남부 예술단 선정
․ 2014년 : 로스앤젤레스 미 서부 문화 대표단으로 공연
▢ 공연소개
- 펭 시(市)의 전설2 : 본 공연 작품은 대만, 타이난, 난잉 지방의 “달-티안진(Tianjin)항구의 벌, 로켓, 총”과 관련된 역사와 전설을 표현한 작품이다.
․ 1장 : 펭 시의 축제를 축하하기 위한 사자춤과 아이들의 춤
․ 2장은 대모할머니의 아이들에 대한 축복을 표현,
․ 3장은 장군 관운장의 수호에 대한 표현
․ 4장은 신에게 기도하는 꽃의 요정을 표현
|
|
대만 공연단 공연 사진 |
3. 태국
▢ 단체 소개 : 스리나카린위롯
- 스리나카린위롯은 40여 년 전인 1978년에 결성되었고, 태국 국왕은 기쁜 마음으로 “스리나카린위롯(대학명칭이자, 태국어로 영광의 도시를 뜻함)”이라는 타이틀을 가진 그룹으로 승인하였다. 스리나카린위롯은 자국 내에서 태국음악이 배척당하고 서양음악이 점차 득세하는 것을 염려한 교수와 학생들이 처음 결성한 단체로, 그들의 노력과 지속적인 인재 교육 덕분에 스리나카린위롯은 40여명의 젊은 단원을 보유한 정규 그룹으로 성장하게 되었고, 단원들은 태국의 마스크 댄싱 드라마뿐만 아니라 태국의 전설 및 모던댄스에 기반 한 컨템포러리 장르, 지역 전통 춤을 선보이고 있다.
▢ 공연소개
- Phra Suthon과 Manorah에 대한 전설
· Meri와 Rodhasen이 죽은 후, 그들의 영혼은 다음 생으로 향한다.
수년 후, Rodhasen은 Phra Suthon이라는 젊은 왕자로 환생하고 Phra Suthon에게 Phran Boon이 방문한다. Phran Boo은 Manohra라고 하는 젊고 아름다운 여성을 소개 해준다. Manohra는 신비로운 조인족(鳥人族)으로 깊은 숲 속에서 사냥을 하던 Phran Boon에게 붙잡혔다. 그녀는 meri의 환생이었다.
Phra Suthon과 Manohra는 혼례를 올리고 즐거운 삶을 살게 되었지만 왕궁의 귀족이 Phra Suthon을 시기하기 시작하면서 상황이 바뀌게 된다. 귀족은 Phra Suthon을 속여 왕궁을 떠나게 만들고 왕에게 Manohra가 왕국에 나쁜 운수를 가져다준다고 거짓말을 한다.
귀족은 왕에게 악운을 떨쳐버리기 위해서는 Manohra를 산채로 불태워야 한다고 주장한다. Manohra는 왕에게 죽기 전에 춤을 보여주기 위해 날개를 돌려달라고 하고, 날개를 돌려주자 그녀의 고향인 Khao Krailas로 돌아가 버린다.
|
|
태국 공연단 공연 사진 |
4. 말레이시아
▢ 단체 소개 : GP Dance Company
- GP Dance Company는 세계를 돌며 공연과 행사에 참가할 수 있는 무용수들로 이루어진 자원 봉사 무용 단체이다.
비영리 단체로 여러 행사와 대회에 참가하면서 말레이시아의 예술 분야를 발전시키는데 많은 기여를 하였다. 2012 Short and Sweet Malaysia에서 최고의 안무가상, 2012 Short and Sweet Malaysia에서 최고의 남성 무용상, 2013 Short and Sweet Malaysia에서 최고의 남성 보조(supporting)상, 2013 Short and Sweet Malaysia에서 최고의 예술감독 상 등 여러 개의 상을 받았다.
▢ 공연소개
- 희망 : 모든 실패에는 희망이 있다. 우리가 무엇을 했을 때 지거나 실패하더라도, 우리가 더 나아질 것이라는 희망을 절대 잃어서는 안 된다.
- 고립 : 힙합의 역동적인 동작, 현대무용의 힙합 스타일인 이 공연은 고립을 표현한다.
- 마지막 기회 : 모든 관계는 각자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당신이 어떻게 이 문제를 해결하는지의 문제이며 이는 당신이 어떤 사람인지 보여준다.
- 마음 : 미는 것이 있으면 그것에 당기는 것도 있다. 삶의 다양성에서 우리는 균형을 찾는다.
- 이모지 : 이 세상의 모든 사람은 그들만의 emoji를 가지고 있다. 이모티콘이란 것은 세계 사람들이 문자를 사용하면서 최근에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문자내용에 emoji가 없으면 완전하지 않다. Emoji의 각 얼굴은 글쓴이를 표현하는 역할을 한다.
- 사랑의 편지(신념)
|
|
말레이시아 공연단 공연 사진 |
5. 카자흐스탄
▢ 단체 소개 : 삼룩 무용단
- 삼룩 무용단은 1998년도에 독자적인 무용단으로 설립되어 카자흐스탄의 예술 감독이자 안무가인 Gulnara Adamova가 이끌어 나가고 있다. 2003년 이후 Almaty Akimat의 후원을 받아 수많은 국제 현대무용 축제에 참가했다. 삼룩은 카자흐스탄의 전문 무용단이며 다양한 형태의 안무를 선보이고 있다. 삼룩 무용단의 레퍼토리는 전체 발레 공연부터 생사, 애증, 인간의 이중성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공연까지 다양하다. 무용단은 카자흐스탄을 비롯한 세계의 여러 안무가들과 작업을 하고 있으며 현대 무용과 카자흐스탄의 발레를 접목시킨 창조적 작품을 지향점으로 삼고 있다.
무용단 설립 이래 작품은 다양해졌고, 변모해왔다. 과거 카자흐스탄 현대무용에 기반을 두고 발전해나갔던 것과 달리, Gulnara Adamova는 전통음악과 문화를 현대 안무에 접목시키는 부분에 집중하고 있다.
▢ 공연소개
- Скользящие в миражах(신기루에 빠지다)
- DNA Phantoms(DNA 유령)
- Shaman of rain(비의 주술사)
- Kazakh patterns(카자흐스탄 양식)
- Farewell to the Milky Way(은하수와의 작별)
- The spirit of the steppe(초원지대의 기운)
- Ak-ku (백조)
- Aul(아울)
|
|
카자흐스탄 공연단 공연 사진 |
6. 이집트
▢ 단체 소개 : 이집트 문화청소년체육부 이스마일리아센터
- 이집트 문화청소년체육부 산하 Ismailia센터에서 해외에서의 이집트 문화예술 홍보 및 진흥을 위해 임시 조직한 예술단체로 Ismailia센터의 대표를 주축으로 지역의 유능한 젊은이들로 구성된 이집트 전통문화예술공연 단체이다. 단체의 리더뿐 아니라 모든 단원들이 수많은 해외공연 경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번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에 참가하여 여러 이집트 전통 문화공연을 선보이며 훌륭한 이집트 문화예술 홍보의 기회로 삼을 생각이다.
▢ 공연소개
- 타노라(Tanoura)춤은 빙글빙글 돌면서, 격렬하게 춤추고 노래 부르는 등의 법열적 의식을 행하는 수피교도 탁발 수도승의 춤에서 파생 된 이집트 민속 무용이다. “타노라”라는 단어는 댄서들이 춤을 출 때 사용하는 커다란 치마를 뜻한다.
터키 오스만 제국에서 기원된 이 춤은 이슬람교 내에서 예배의 대안 형태로 시작되었으며, 신과의 강렬한 교감을 유도하는 방법으로 수행된다. 댄서들은 길고 흰 카프탄 옷과, 페즈모자, 무거운 흰 치마를 입고 가상의 점을 중심으로 몇 시간 동안 회전을 한다. 타노라 춤은 보통 중간에서 그룹에서 원형을 만들어 돌고, 그 중에서 한 댄서가 도는 형태로 진행된다.
|
|
이집트 공연단 공연 사진 |
7. 인도네시아
▢ 단체 소개 : SCK 아트센터
- SCK 아트센터는 춤을 통하여 인도네시아 문화의 소속감을 일으키기 위하여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유수의 예술 연구소와 수라카르타 ISI를 졸업한 8명의 댄스 트레이너와 함께 고전 무용, 현대 무용, 인도네시아 아르키펠라고 댄스의 교육 및 훈련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프랑스(2008), 네덜란드(2009), 중국(2010)에서 인도네시아 댄스 대표, 솔로 국제예술축제의 오프닝 공연, 인도네시아 국제탈축제의 개막식 공연,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14 인도네시아 대표 그리고 2015년 한국과 인도네시아 콜라보레이션 탈춤공연 등 많은 성과를 냈다.
▢ 공연소개
- Ko-In은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약어이다. 한국과 인도네시아는 새로운 탈춤 퍼포먼스를 제작하기 위하여 함께 협력하고 있다. Ko-In 댄스 콜라보레이션은 2015년 7월 인도네시아 Malang ICCF에서 공연하였고2015년 9월 인도네시아 솔로의 SIPA에서 공연할 예정이다.
작품에는 몇 가지 인상적인 장면들이 있다. 공연은 한국의 장구, 북, 꽹가리, 징 그리고 인도네시아의 전통 악기 보낭, 바룽, 사론 펠로그, 페킹 펠로그, 데몽 펠로그, 공 수웍, 커다란 공 그리고 금풀이 연주되며 시작된다. 그리고 그림처럼 움직이지 않던 공연자들이 음악 소리를 들으며 일어난다. 또한 인도네시아와 한국 신들이 일어나고 인도네시아의 공주가 한국에서 온 손님들을 환영하며 함께 춤을 춘다.
그러나 그들은 나쁜 캐릭터에 의해 방해를 받는 어려움에 처하게 되지만 인도네시아의 공주가 그들을 구해주고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광대 캐릭터가 관중들과 함께 춤을 춘다. 마지막 장면에서는 귀족, 한국의 캐릭터 그리고 광대가 다양한 방향에서 무대로 입장하며 모든 탈과 관객이 함께 한국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출 것이다.
|
|
인도네시아 공연단 공연 사진 |
8. 일본
▢ 단체 소개 : 이세다이 가구라
- 이사대신궁(신사)에 첨배할 수 없는 사람들을 위해서 각지의 집집이 돌아다니면서 악귀 퇴치, 가정 안녕을 기원(祈願)하기 위해 사자 탈춤을 춘 것이 이세다이 가구라의 기원(起源)이 된다. 미에현 쿠아나시(三重県 桑名市)를 발상지로 한 일본 전통예능으로 약 6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 공연소개
① 방울(鈴)춤 鈴の舞- 이세다이가구라 공연의 시작을 알리는 춤이다.
② 사방(四方)춤 四方の舞
- 일본의 토착신(土着神)인 사루타히코가 사자를 유도하여 천지사방에 있는 부정을 없앤다.
③ 도약(跳)춤 跳の舞
- 가구라에는 신위(神威)로 의해 영혼을 강화시킨다는 뜻도 있다.
④ 부채춤 扇の舞
⑤ 검 춤
- 사자가 검을 물고 춤추면서 천지사방에 있는 부정을 없앤다.
⑥ 요시노(吉野) 춤
- 오오아마노오지(大海人皇子, 이후에 천무천황 天武天皇)가 정치로부터 회피하기 위하여 요시노로로 도피하였는데, 이러한 역사적인 사건에서 유래한 춤이다.
⑦ 신래(神來)춤 神来舞
- 사자머리는 일시적인 신의 모습이며, 다이가구라 사자춤 중에서 가장 세련된 아름다운 춤이 이 신래춤이다.
⑧ 괴곡(魁曲)
- 이세다이가구라의 마지막을 매듭짓는 곡. 2인 1조가 되어 1명이 상대방의 어깨 위로 올라가서 춤을 춘다.
|
|
일본 공연단 공연 사진 |
9. 중국
▢ 단체 소개 : 사천성 천극원
- 1960년에 설립된 사천성 천극원은 중국 무형문화유산 '천극'의 전승보급기관 및 국가 1급 예술극원으로 선정되어 백옥란상을 수상한 '런팅팡', 2회 매화상을 수상한 '천즈린' 등 수준급의 연기자를 배출하였다. 특히 대표작품인 '변검', '파산선비' '역단대'는 10대 우수작품, 문화대상 등 문화예술분야 국가급 대상을 수상하였다.
▢ 공연소개
- '화염산'은 2007년 사천성천극원에서 전통소설 '서유기' 중 손오공이 나찰녀 철선공주한테 파초선을 빌리는 이야기를 바탕으로 창작한 신화공연
① 제1화 - 서역 불경을 구하기 위하여 수많은 어려움을 겪어낸 삼장법사 일행은 불길이 치솟는 화염산에 도착한다. 반드시 거쳐야 하는 길인데 불길이 너무 뜨거워 접근이 불가하니...
② 제2화 - 이래저래 알아보니 취운산 파초동에 사는 철선공주가 파초선이라는 진귀한 부채를 가지고 있는데 그 부채만이 이곳의 불길을 잠재울 수 있다. 이리하여 파초선을 빌리러 오공이 나서는데...
③ 제3화 - 갖은 방법을 동원하여 파초선을 가져오긴 했는데, 웬일인지 부채질을 할수록 불길이 더 크게 타올라 오공이 죽다 살아나다.
④ 제4화 - 철선공주와 남편 우마왕은 아들 홍해아를 해친 손오공이 화염산에서 타 죽는 줄 알고 기뻐하며 파티를 열어 흥겹게 춤을 춘다.
⑤ 제5화- 화난 오공이 저팔계와 사오정을 데리고 우마왕 부부와 끝이 안 보이는 싸움을 시작한다.
⑥ 제6화- 파초선으로 불을 끄고 사람들은 다시 일상으로 돌아온다. 엇갈린 인연과 갈등도 모두 해결되는구나!
|
|
중국 공연단 공연 사진 |
10. 필리핀
▢ 단체 소개 : PINIA, NCCA
- 하릴리 크루즈 댄스 협회는 필리핀지역에서 일관성있고, 성공적으로 대표되는 단체로서 다른 국제 축제와 호주, 영국, 홍콩, 일본,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중국, 태국, 인도네시아, 부르나이, 한국, 러시아, 미국 등지의 경연대회에 참가한 경력이 있다.
▢ 공연소개
① Ati-atihan 댄스
- 현대극의 한 분야로 필리핀인들의 어린 예수에 대한 신념을 축제화 하고 축제적 성격을 가진 거리 댄스로 만든 작품이다. 필리핀인들의 기독교적인 신앙의 상징으로 축제를 동경하듯이 매우 화려하게 구성되어 있다. 댄서들은 우아한 머리띠장식과 몸에 페인팅을 하고 마스크를 착용한다.
② 복제생물
- 창작 현대댄스의 한 분야이며, 그룹의 재능들을 쇼케이스 형식으로 보여준다. 연행을 살펴보면 원종의 생물들이 어떤 난관을 해쳐나가는 아픔에 대한 모습과 기원에 대한 내용을 묘사하고 있다. 이것은 또 다른 분야의 흥미로운 쇼케이스 공연이다.
③ Ani
- 아니라는 것의 의미는 풍농이다. 흥겨운 움직임으로 풍농에 대한 감사의 표현을 담아낸 댄스공연이다. 이것은 네오 종족들의 댄스로 강력한 테크닉과 고난이도의 기술이 필요한 댄스이다.
④ 마스카라의 리듬
- 창작 현대댄스의 한 분야로 기쁨의 감정들을 상징하는 다양한 움직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댄서들은 탈을 쓰고 공연에 참가한다.
|
|
필리핀 공연단 공연 사진 |
11. 프랑스
▢ 단체 소개 : Claude Roche
- 현대사회의 아픔을 탈을 통해 위로하는 1인 퍼포먼스를 펼치는 공연
▢ 공연소개
- 침묵의 곁눈질
|
|
프랑스 공연 사진 |
12. 에콰도르
▢ 단체 소개 : 안데스 문화원
- 에콰도르의 전통 악기를 활용한 신비롭고 신명나는 공연
|
|
에콰도르 공연 사진 |
'축제와 행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36회 전국육사백일장 & 제10회 육사시낭송대회 (0) | 2015.10.11 |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15 & 제47회 안동민속축제 (0) | 2015.09.30 |
“글로벌 안동, 행복 예총!” 제27회 안동예술제 (0) | 2015.09.14 |
2015년 다양하고 특색있는 안동만의 여름휴가 명소 추천 (여행) (0) | 2015.07.17 |
2015 안동벚꽃축제 (0) | 2015.03.26 |